Writer's Series

4. IoT, 그 이상

4. IoT and beyond

IoT, 말 그대로 사물 인터넷 세상이 도래했습니다. 이 기술의 활용과 그 범위가 점차 확장되어 가며 사람과 기업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이르러서는 IoT 기기들의 숫자가 비 IoT기기들의 숫자를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 IoT 기기라 함은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이것은 고작 시작에 불과합니다. 2020년 기준 약 120억 개의 기기들을 시작으로 향후 310억 개의 기기들이 인터넷과 연결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IoT 너머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오로지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HLDS의 IoT 플랫폼은 이러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차후에 설명 드리도록 하고 우선 IoT 의 기본 개념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IoT의 기는 무엇일까요? 

여기서는 IoT의 개념을 이해하고, IoT가 어떻게 미래 성장을 견인하는 체계를 구축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다시 모여서 IoT가 가지는 힘과 유용함의 근간이 됩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 컴퓨터 공학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든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는 개념을 말합니다. 이것은 곧 어떤 디바이스라도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서로 다른 디바이스와 운영체제가 동일한 시스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뒷받침 됩니다.  

스마트그리드는 IoT 사용에 있어서 효율적 에너지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공급 체계입니다. 에너지의 저장뿐만 아니라 재생 가능한 에너지 와도 상당 부분 관련이 있습니다. 디바이스들이 항상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한한 에너지의 공급이 필요합니다. 

인터페이스

Wi-Fi 다이렉트 는 케이블이나 연결 장치 없이 디바이스와 인터넷을 직접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와이파이는 우리 모두에게 익숙하지요. 카페에 들어설 때마다 패스워드를 물어 인터넷 연결을 하니까요. IoT와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들 역시 데이터를 전달하고 받으려면 와이파이 연결이 필요합니다.  

DLNA 또는 디지털 리빙 네트워크 얼라이언스는 여러 가전 회사가 플랫폼과 장치 간 데이터 공유 및 운용성 향상을 위해 설립한 단체입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기기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다른 기기에서 사용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DLNA는 공유 체제로 나아가 모든 디바이스들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소통할 수 있게 해줍니다.

Bluetooth는 디바이스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또 다른 무선 기술입니다. IoT 는 결국 대량의 데이터 모델을 구축하여 우리 삶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블루투스도 IoT기술의 일부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모든 것들이 모여서 IoT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관련 기술은 무엇인가요?

알려진 대로, 기술과 프로토콜은 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합니다. 기본 데이터는 사용 가능한 형식으로 처리 및 공유되기 위해 수집되고 처리됩니다. 주요 프로토콜을 소개하고 이것들이 사용자에게 어떤 의미인지 보겠습니다.

Wi-Fi는 IoT 프로토콜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스마트폰으로도 사용하고 있고, 세계적으로도 여러 비즈니스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와이파이 덕분에 불과 10년도 채 지나지 않아, 유선 연결을 벗어나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당연해졌습니다. 

5G는 가장 최신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표준입니다. 이전의 4G를 대체하며 더욱 빠른 속도가 가능해졌습니다. IoT에서 속도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더 빠른 커뮤니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Zigbee가 IoT와 관련해 인기가 있는 이유는 다른 프로토콜에 비해 전력 사용량이 적고 범위가 넓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확장하기 쉬워 스마트 그리드 사용자에게도 상대적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LoRaWAN은 MC 혹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 IoT 프로토콜 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저전력 디바이스들도 다른 인터넷 어플리케이션과 직접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BLE는 블루투스 저전력 프로토콜의 약자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력 소비를 낮게 유지하도록 합니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들을 전송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량이 문제가 됩니다. 우리는 제한된 양의 전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존하는 것이 결국 IoT 성공의 핵심입니다. 

LwM2M은 특히 기계간 통신에서 더욱 더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Lightweight Machine 2 Machine 의 약자로 이 프로토콜 역시 저전력 상황에서도 데이터를 전송 가능케 하기에 소형 기기간의 통신에 유리합니다.

위치 정보가 왜 중요한가요?

좋은 질문입니다. 사물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의 위치 추적은 매우 중요합니다. 기기에서 전달된 데이터가 유용한 정보인지 확인하기 위해서 위치를 분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싱가폴에 있는 기계에서 나온 데이터는 러시아에 있는 동일한 기계에는 해당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온도, 사용, 작동, 휴먼 인터페이스 및 기타 요인들로 인해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로 기기의 위치는 매우 중요합니다. 

위치 기반 서비스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 통신 칩/모듈
  • GPS의 사용
  • Beacon을 통한 실내 와이파이의 사용
  • 울트라 와이드밴드(UWB) 기술

위치는 IoT의 개방된 통신 채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각각의 기기들이 제 위치를 파악하고 통신 중인 다른 기기를 인지하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이런 면이 사물 인터넷에서 가장 큰 발전이라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HLDS의 HL-DP 플랫폼은 IoT 센서에서 수집한 기초 데이터를 통합, 관리, 가공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고객 서버에 연결함으로써 고객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이 프로세스 의 작동 속도는 IoT 성공에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를 실현할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연락 주세요. 

다음 보기

3. Changes in how we book, order and pay
5. Face recognition & thermal sensing